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ogresses, int[] speeds) { // +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 // +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 // +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 + 단, 뒤의 기능이 앞의 기능보다 먼저 완성된 경우에는 앞이 완성되기 전까지 배포가 불가능하다. int [] endDay = new int [100]; // + 작업의 개수는 100개 이하이기에 마감되는 날짜를 저장하는 배열도 최대 크기인 100으로 지정한다. // ================================..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 String answer = ""; // + 뒤집은 문자열을 저장할 변수 answer 생성 for ( int i = 0; i < my_string.length(); i++ ){ answer += my_string.charAt( my_string.length() - i - 1 ); // + charAt을 활용하여 마지막부터 차례대로 문자열 answer에 더한다. } // for : 문자열을 합친다. return answer; } // solution } // end class

더보기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_list) { int[] answer = new int [2]; // + 짝수와 홀수의 개수를 저장할 배열을 생성한다. int one = 0; // 홀수 카운트 해주는 변수 int two = 0; // 짝수 카운트 해주는 변수 // + num_list 배열의 순회하면서 원소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저장한다. for ( int i = 0; i < num_list.length; i++ ){ if ( num_list[i] % 2 == 0 ){ two ++; } else { one ++; } // if-else : 짝수인지 홀수인지 %를 통해 파악 } // for answer [0] = two; answer [1] = o..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_list) { // + 배열의 원소 순서를 거꾸로 뒤집어서 저장해야 한다. int[] answer = new int [ num_list.length ]; // + 원소를 뒤집어서 저장할 배열 생성 for ( int i = 0; i < num_list.length; i++ ){ answer [ num_list.length - i - 1 ] = num_list [i]; } // for : 순서를 뒤집어서 저장한다. return answer; } // solution } // end class

더보기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boolean check = false; // + 피자가 딱 나눠 떨어지는지 여부 int count = 1; // + 피자의 수를 카운트해주는 변수 while ( check == false ){ if( ( count * 7 ) >= n ){ check = true; break; } // if : 조각의 개수가 인원수보다 많은지 확인 count ++; // + 나눠떨어지지 않는다면 1씩 증가하여 확인해준다. } // while return count; } // solution } // end class

더보기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olution { // 문제 : // +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 + 단, 제거된 후의 남은 원소들은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 + 이러한 문제는 중복된 원소를 제거한 후의 배열의 길이를 초반에는 알 수 없기에 // + 자료구조 중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ArrayList를 사용하면 편하다. public int[] solution(int [] arr) { ArrayList al = new ArrayList(); int temp = 11; for ( int i = 0; i < arr.leng..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 문제 : // +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 +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 +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public int solution(int[] citations) { // + 예외 케이스 : 논문이 1개인 경우 H-Index는 반드시 1이다. if ( citations.length == 1 ){ return 1; } // if // + H-Index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오름차순 정렬을..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 문제 : // +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 // + 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 +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 + 가장 큰 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앞자리 숫자가 큰 숫자를 먼저 정렬해야 한다. // + String타입의 문자열이 숫자일 경우 int 타입과 다르게 앞자리 순서대로 정렬이 되기에 이를 활용하고자 한다. public String solution(int[] numbers) { String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