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차접근 저장장치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거나 쓸 수 있는 저장장치예 : 테이프 장치특징초기 접근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림대량의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2. 직접접근 저장장치지정한 위치를 직접 찾아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저장장치임의접근 저장장치예 :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SSD자기 디스크자성을 띤 디스크의 표면에 데이터를 쓰거나 읽음광디스크디스크 표면에 레이저를 쏘아 반사되는 빛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씀예 : CD-ROM, CD-RW,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나선형인 하나의 트랙으로 구성SSD읽고 쓰기가 가능하면서 전력공급이 없어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 이용자기 디스크보다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음용량 대비 가격이 비싸며 수명이 짧음3. 디스크 스케줄링디스크 접근 ..
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다양한 장치들CPU, 메모리 : 프로세스 실행에 필수적인 장치나머지 장치들 : 프로세스 실행 시 데이터 입력이나 출력에 사용되는 입출력 장치2. 입출력장치의 구분세 가지 범주전용장치, 공용장치, 가상장치구분 기준장치의 기능적 특징장치관리자의 관리 방법3. 입출력장치의 구분전용장치한 번에 단지 하나의 프로세스에만 할당예 : 테이프 드라이브, 프린터, 플로터 등단점 :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공용장치여러 프로세스에 동시에 할당예 : 디스크 같은 직접접근 저장장치스케줄링 기법 필요가상장치전용장치를 공용장치처럼 보이게 함디스크 같은 공용장치를 이용예 : 스풀링을 적용한 플로터 등4. 논리적 구성장치 제어기장치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전자장치( 하드웨어 범주에 포함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종..
1. 해싱의 개념해시( hash )탐색키에 산술적인 연산을 통해 버킷의 주소를 계산하는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배분 및 접근하는 기법버킷( bucket )한 개 이상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단위일반적으로 버킷의 크기는 디스크 블록의 크기와 일치2. 해시의 구조레코드 탐색키의 집합( K ) 내의 레코드를 해시 함수( h )에 입력하면, 해시 함수의 결과값( 출력 )이 특정 버킷( B ) 을 가리킴해시 함수(h)탐색키 K를 입력받아 해시 연산 수행결과값에 따라 여러 개의 버킷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 또는 검색버킷(B₁ ~ Bₙ)해시 함수 결과에 따라 선택되는 저장 공간각 버킷은 하나 이상의 레코드를 저장 가능3. 정적 해싱의 특징버킷의 개수가 고정된 해싱 기법키 값이 Kᵢ인 레코드 삽..